경제학설사 강의 Note, 2015
Note 1; 경제학의 prehistory
Adam Smith가 출현하기 이전까지의 경제학
경제학; 정치, 신학, 철학의 종속물
oikonomia; oikos[household]+nomia[rule/law] a law of household,
Plato[427-347 B.C.]의 공화국[Politeia, The Republic; 1st utopia]
-철인은 다스리고 戰士는 싸우고 노동자는 일함;
Aristotle[384-322 B.C.]
신분주의;-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기본적 차이를 가진다.
The educated differ from the uneducated] as much as the living from the dead.-
-chresmatike; 획득
justice 正義“a virtue of the soul distributing what which each person deserved;.
중세(中世) Feudalism; Latin feodum for fief-- 封土
카톨릭교회가 윤리,학문 독점
Stoic, Thomas Aquinas;, 금욕, charity; 탐욕심이 영혼을 타락시킴
no luxury, no economic mind, 이익추구 부정
유태인; 賤民 민족, pariavolk, pariah[gr.] 印 최하층; usury 담당
Note 2; Mercantilism
Commercial Revolution 시기의 경제정책체계;
--동서교류 및 소비혁명;십자군 전쟁 후 동서교류
Marco Polo, 13c Venetian merchant/ Columbus 등
Bourgeois의 출현
--Renaissance; 교권 약화, new ideas, 경제 이론과 사상 대두
--nation-state 성립; 왕권국가
--상업 혁명; 대항해 시대, 무역증대, 식민지 개척, 도시번성
화폐경제, 신용/보험.금융 제도, 합자회사, bourse, 등
1, Bullionism;
금괴[bullion] 획득을 위한 경제/무역정책]
-trade protection; 수입금지, 원자재 수출금지, 무역독점[동인도회사]
-Beggar-thy-neighborhood pol.
-Navigation Act
-colony expedition; Francisco Pizzaro, Hernan Cortez
Jean Bodin 1530-1596, 프랑스의 정치사회철학자. 법률가
Price rise; not by weight but by abudance
low interest for merchant
John Locke;1632-1704 자유주의 정치이론가, 계몽주의 철학자
M의 유통속도 발견; Trade 량 증대면 Price하락
Thomas Mun 1571-1641/동인도회사의 長
만약 金 유출이 다시 利殖부 수입된다면 허용 장려
William Petty 1623-87; surplus gold 수출
if 국내 있으면 P상승 -수출 어렵게 함
官房學 C/Kameralism[Cameral science, staatswissenschaften, 지역재정]
내륙국가의 경제행정과 정책의 원리;
2, 절대왕권과 Statism;
Thomas Hobbes 1568-1679 Leviathan 1651 海獸;
-인간은 이기적 개인주의적 動物이며, 극단적 이기주의가 인간관계의 지배적 형태,
-萬人은 萬人에 대항; 폭력과 죽음에 대한 공포가 개인의 自然權을 국가에 포기하게 함; monarchy통치론
John Locke;
인간은 독립 및 동등, 타인의 life, health,liberty,possessions 해칠 권리 없음[노동가치론]
개인의 자유의사에 의한 사회적 계약-국가 탄생
사유재산제도가 근로와 모험의 조건 [*W.Bernstein, The Birth of Plenty]
-국가통일정책/colbertism
Colbert, Jean Baptiste[1619-83];
루이14세의 재상[1665] 국가통제주의자[statism]
-국가의 번성, 영광 위해 국민 통제
Note 3; 17c 경제이론
William Petty 1623-87; Statistician, 1st political economists]
Political Arithmetick,1660
Y Source 조사-가치론 창시 wage + rent;
rent 이론; ‘市場과의 거리에 따른 차등,
Dudley North 1641-91, Discourses upon Trade 1691
최초의 free trade 이론
-capital; stock
Richard Cantillon 1680-1734, Essays on the Nature of Commerce 1730경 in Fr.
-가치론;land가 N K에 의해 가치 실현
-entrepreneur
-price mechanism; mkt price--intrinsic price ;dd가 이윤,손실초래--자원배분
-화폐/무역/이자이론
David Hume 1711-76, Scottish historian/philosopher,
-金본위제 하의 free trade이론/ interest 이론
Note 4, Physiocracy [중농주의]
17c; The Age of Enlightment, 과학과 知的 혁명시대
Isaac Newton 1642-1727 principia, 1701 자연철학의 수학적 원리;
G.W. Leibniz; virtue surpasses evil,
French Encyclopedists; ‘과학의 원리에 의해 세계에 대한 최종설명이 멀지 않았다'
-합리[思惟]주의[Descartes] 경험주의[Bacon,Locke];
-natural law/natural rights의 존재
-liberal political democracy/ laissez faire
Physiocracy= phuseos[自然]+kratesis[統治]=nature's rule
economic tenet; 1]농업의 중요성, 2] free trade, 3] tax only to land
Francois Quesnay 1694-1774, Tableau economique,1758;
왕이 된다면 무엇을 할 것인가==nothing
who rules?==the law[ of nature];
physiocracy; 세계는 그 안에 심어진 법칙에 의해 자연적으로 통치됨
Tableau: 3 계급; land owner, productive class, sterile[불임] class
-농업이 유일한 富의 생산자, 상공업은 농업의 하인
-free trade; tax only to land[상공업에의 세금은 농부에게 전가됨]
Robert Jacques Turgot, 1727-81, Reflections on the Formation and the Distribution of Wealth, 1770, Louis XVI의 재무상
‘no bankruptcy, no increase in taxes, no borrowing, but economy'
sinecures[閒職]과 독점 폐지, 곡물의 자유 유통, guild의 폐지,
-후임 Necker[반 튜르고 정책, 정부차입증가, 곡물유통제한]의 실패- 프랑스 대혁명 유발
Gabriel Victor R. Mirabeau 1749-91; 문자,
Note 5; Adam Smith 1723-90
경제학의 비조(鼻祖)/ Glasgow 대학의 논리학 및 도덕 철학 교수
-Professor of natural religion, religion, ethics and civil policy
History of anatomy, Physics, Ancient physics, Ancient and modern logics and metaphysics 등 저술
Theory of Moral Sentiment,1759
-selfish interest의 인간행동을 제약=>도덕적 인간
同情: sympathy; love for fellow livings이 도덕적 합의와 법질서를 형성
-> 道德律+legal rules
國富論, 1776; An Inquiry into the Nature and Causes of the Wealth of Nations
Book I; 노동의 생산력과 이의 분배[분업,atomic competition, 가격 system과 자 원배분,생산요소와 소득분배]
II, Capital[본질, 축적,용도] and Economic Growth
III, 각국산업의 성장사례[부유와 진보의 차이, 역사]
IV, 경제학 체계; 8 chapters; critics on mercantilism, 1 chapter; theory 1 ch.; physiocracy
V. 주권자와 국가수입; 조세[공채+] 및 정부지출
1, self interst, market, invisible hands
butcher; 자신에게 가장 득(得)이 되도록 노력과 재산 고용함 --> 사회에 得
이기적 동기-행동이 사회에 harmony and growth; otherwise, chaos.
Bernard Mandeville 1670-1733. The Fable of Bees; or Private vices, Publick Benefits 1714,
-私的 惡[pvt.vices]이 公的 이익[public. benefits]의 필수적 요건
-virtues[빈천한 삶]; no ventures, no competition- no growth, no emp. no refinement
-vices; wants, ambition의 원천
bees 정직 소박해지면 생산, 고용 down
사치 낭비, 오만해지면 경제 up
-mkt system; 이기적 동기[driving power]와 competition[최적 자원 배분] 유인
Frederick Hayek[Road to Serfdom] ; mkt-人間史의 가장 위대한 발명품
'시장경쟁은 利己的人間으로 하여금 아침에 일어나 원자재를 사용해서,
자기가 원하는 것이 아닌 다른 사람이 원하는 것을
자기가 원하는 량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원하는 量만큼
자기가 원하는 값이 아니라 다른 사람이 원하는 가격에 공급하게 함
-System of natural liberty; 自然法則[invisible hand]에 의해 self interst 추구와 인간성이 사회전체의 이익에 부합하도록 harmony and growth 초래
2, 富의 원천; 분업, 기술, 성장
토지,
자본의 투자-축적
노동; div. of labor-tech[IA, Industrial arts]-pin 공장; 18공정/10인, 48000개/10일- 240-4800배 생산
IA-생산성-이윤-저축/투자-임금-인구-수요의 증대-IA-
-국제무역; 국제 분업의 형태, 양국에 모두 자본 노동 절약
3,가치와 가격
인간은 재화를 얻기 위해 toil[work] and trouble[save]= 국부의 원천
토지, 자본, 토지 투입=cost of production[생산비 가격이론 or 구성가격론]
사용가치; 교환가치[=가격]의 전제조건
自然가격[natural p.]; 가치 반영의 장기적 가격.]
市場가격[mkt.p.];단기적 가격
mkt mech.이 필요한 곳에 자원배분 유도
p>c, 이윤^-outsider 유인-시장가격이 자연가격으로 회귀
p<c, 손실-insider 축출-
-그러나 독점 하에서는 not working,
Note 6; Classicals
철학적 배경
-개인주의[Hobbes, Mandeville] 아담스미스
-합리적 주관주의; 합리주의 +Say의 主觀主義
-功利주의[utilitarianism=效用主義]-인간행위의 궁극적 목적은 快樂의 추구와 고통[-쾌락]회피
Jeremy Bentham[1748-1832] An Inroduction to the Principles of Morals and Legislation, 1780,
-Utilitarianism; 모든 인간행위는 效用[쾌락과 고통의 主人]의 원리가 지배
1]효용의 원리가 인간행동지배; 행복[쾌락의 合]을 최대로 얻는 것, 불행[고통과 불만의 合]을 가능한 한 회피하는 것,- 쾌락 같다면 pushpin과 poetry는 동일
2]효용의 크기는 수학적으로 서술 가능; 행복의 수학[felicific calculus]; intensity, duration, certainty, propinquity, fecundity, purity, extent에 의해 계측가능
3] 이를 적용해 합리적, 과학적 방법에 의한 윤리, 정치, 법률을 창조 -모든 개인과 공공행동의 목적은 the greatest happiness of the greatest number
Jean Baptiste Say 1767-1832; A Treatise on Political Economy 1803;
-주관적 가치에 배경한 수요이론 창시, 시장과 entrepreneur이론을 개척
Supply creates its own demand[Keynes' term] 시장의 자동적 균형/청산
1]누구도 교환할 意思없이 생산 않음; 공급--동일한 크기의 수요 창조
2]생산에 투입된 whole cost는 직 간접으로 생산물의 구입에 쓰여짐
Thomas Robert Malthus, 1766-1834;
인구론; An Essay on the Principles of Population As It Affects the Future Improvement of Society with Remarks on the Speculations of Mr. Godwin, M. Condorcet and Other Writers, 1798,
Marie Jean Antoine Nicholas Caritat Marquis de Condorcet 1743-1794;
Historical Picture of the Progress of the Human Mind,
政府의 복지기금 및 credit 통제
William Godwin[1756-1836],
Enquiry concerning political justice,1793
절대평등의 사회, anarchic commune의 도래
인구론 역사;
Gregory King, 1696 최초 인구조사
Richard. Price, Essays on the population of England1779,
Giovanni Botero, 1589
Petty, Essays Concerning the multiplication of Mankind 1686,
Giammaria Ortes, Reflections on Population,
Antonio Genovesi,1769,
Quesnay, Mirabeau
Benjamin Franklin; Observations Concerning the Increase of Mankind, etc. 1755,
인류인구는 25년마다 double- 배율(倍率)로 증가 like 1 2 4 8 16...
토지 생산성, 식량도 증가, but 산술적으로 증가 1 2 3 4 5...
positive checks[사후(事後)적 제동] 전쟁, 질병 등에 의한 사망
preventive checks[사전(事前)적 제동] 필요함,
-그러나 labor class는 “delights of domestic society"에 중독,
-Godwyn, Condorcet 등 개혁주의자들은 사후적 제동과정 망침.
General Glut;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1820
소화 안 된 재화;
산업 자본가 소비부족-현금 저축/glut을 발생시킴-지주(地主)의 비생산적 수요 필요
David Ricardo 1772-1823;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and Taxations,1817
산업자본가 이익 옹호자
-화폐, 조세, 무역, 지대, 가치이론
-가치론, ‘한 상품의 가치는 이와 교환되는 다른 상품의 分量[교환가치]
생산에 필요한 노동의 상대량[직접노동+ 투하된 노동]에 의존(93% 노동가치설)
노동가치론 창설- Ricardian Sosialiss[노동전수권(勞動全收權) 사회주의] 전파
-차액지대론; 인구증가-곡물가격상승-차액지대 발생-지주(地主)만 이익
-산업자본가 이윤 저하-자본축적 하락
-free trade, 비교우위론
Note 7; 貧民이론, 자본가이론
William Thompson, 1775-1883 Irish Utilitarian Socialist
An Inquiry into the Principles of the Distribution of Wealth Most Conducive to Human Happiness[1824]
Thomas Hodgiskin,1787-1869 착취론
Labor Defended Against the Claims of Capital
Popular Political Economy, 1827
William Nasau Senior, 1790-1864,
이윤(利潤)의 정당성/절욕설[abstinence Theory]
An Outline of the Science of the Political Economy, 1836
Frederick Bastiat, 1801-1850 French Economic sophist
사유재산(私有財産)의 신성불가침
Harmonies of Political Economy, 1850
Note 8; J.S.Mil,1806-1873,
"Saint of rationalism", 절충주의/개혁주의/여성해방
The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 1848,
System of Logics 1843, Utilitarianism 1863, on liberty 1859
--분배론; 생산[富]의 법측[事物의 법칙] vs 분배의 규칙
--功利主義; Bentham의 pleasure 척도에 Quality와 merit 추가; vulgarity/refinement, nobility/baseness, worthiness;
--임금 및 私有財産개혁; 상속세, 지대세, 노동자조직, 빈민지원
Note 9; Socialism
-Utopians vs Scientific socialism
Thomas More 1478-1535,
Utopia[1516] 농업중심 공산주의/협동사회
Robert Owen, 1771-1858, 사회개혁자/환경주의자
New Harmony, Indiana ,1826-28, communistic settlement
Francois Noel [Gracchus] Babeuf, 1760-97
최초의 공산주의 혁명시도자
Bavouvism; 완전동등, 검열/통제의 사회
Etienne Cabet 1788-1856,
‘Voyage to Icaria/en Icarie'1840,
Claude Henri de Rouvroy comte de St. Simon, 1760-1825
공산주의 산업사회 model- 중앙통제의 공산주의 경제사회
과학자, 산업가에 의한 노동의 과학적 분업-Newton Committee.
Charles Fourier 1772-1837, Theorie des Quatre Mouvements,1808
Phalanx; 효율, 인간성의 원리에 의한 사회조직
Fourierist communes; Brook Farm 1841-47, North American Phalanx, N.J. 등
-사회주의 이론가
Sismonde de Sismondi, 1773-1842
Principles of Political Economy1819,
class division에 의한 과소소비-착취론/공황론
Johan Karl Rodbertus 1805-75
overproduction and Crises, 1851
Proletarian 옹호론/ Iron law of wage/제국주의이론의 개척
Note 10 KARL MARX, 1818-83
Communist Manifesto, 1848
Das Kapital I권, 1867, 2,3권 Engels가 편집, 노동가치론-잉여가치론-착취/공황-자본주의 붕괴과정 설명
Friedrich Engels,1820-95
The Conditions of Working Class in England in 1844
Anti-Duhring 1878, The Origins of Family, private property and the state 1884,
유물(唯物)변증론; Dialectic+materialism
변증론;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 creator of dialectic idealism
1]변화가 본질/세상에 변할수 없는 진리는 모든 것이 변한다는 것
2]정-반-합[TAT]의 과정
3]觀念論 idealism; 인간정신이 역사를 인도; 외적세계는 이 path를 따름
유물론; Ludvig Andreas Feuerbach, 1804-72; 독일의 유물 철학자/무신론자
The Essence of Christianity,1840; Man created God
Historical materialism [역사적 유물주의]; 역사의 경제적 해석;
-생산력 productive forces; production이 역사의 alpha to omega
-생산관계 productive relations; 계급투쟁이 역사의 과정
-상부구조 superstructure; 법, 제도, 관념, 정서[국가, 종교]/오직 거사[overthrow]로만 변 화 가능
Marxian Dialectic; 혁명 + proletarian dictatorship
-역사의 필연적 과정; 원시공산-slavery-봉건주의-자본주의-사회주의-공산주의
잉여가치론[theory of surplus value];
노동가치론; commodity is material envelope of human labor
투하된 노동의 가치[socially necessary labor time unit]가 상품의 가치/교환가치 결정
C= c불변자본 + v가변자본 + s잉여가치
1] 이윤율 하락; s/[c+v]= s/v착취율 / (c/v자본의 유기적 구성도 + 1)
2] 자본의 집중[concentration]-양극화[polarization]
3] 산업예비군[industrial reserve army]-임금하락
4] 궁핍화[immiserization]
5] 공황 및 사회적 위기- 혁명
Note 11; Historical School
독일의 국민경제학
배경; German Romanticism[F.schlegel]; 자연, 인간본성 및 national pride 강조
senses and emotions>reasons and intellect
Johan Fichte; Reden an die Deutche Nation,1808
반(反) 자유주의; 질서자유주의
반 공리주의[개인주의]; 국민주의[집단주의]
반 Marxism; 국가사회주의
Adam Mueller; 유기체국가론[Elemente der Staatskunst, 1809
-국가는 무한다수(無限多數) 유기체 조직으로 형성-삶과 죽음으로 결합
-후속(後續)하는 가족의 결합; 공간적, 시대적으로 무한 친밀
Friedich List[1789-1846]
Das national System der Poolitische Economie, 1841
독일 관세동맹[German Zollverein 1834] 성사
국가발전단계론; 미개-목축-농-농공-농상공
- 각 국가는 각기 다른 발전단계-다른 경제학
- 보다 높은 단계로 생산력 확대 노력이 국가의 목적
- 생산력; 자연+기술+[지식, 법, 제도, 도덕, 질서]
-국가 요소; 역사+국민+생산력
- Sociality의 value; 자본주의는 자본가-노동자 분열, 정치 종교 기타 국가정신 필요.
구(舊) 역사학파
Wilhelm Roscher[1817-1894]; 역사적 방법에 의한 국민경제학 기초 1843
-인과(因果)법칙[연역법] vs 유사(類似)법칙[귀납법]
-경제학은 ‘국민경제의 발전법칙’에 관계되는 학문
-역사발전단계; 자연경제-노동경제-자본경제
Bruno Hildebrandt, 현재와 장래의 국민경제 1848
경제법칙; 자연법칙[사물세계]+심리법칙[인간세계;제도+역사]
발전단계; 실물경제-화폐경제-신용경제
Karl Knies
-국민경제; 물질적 요인+인격적요인;
-유사성(類似性)만 중요할 뿐 Theory는 유용성 없음.
신 역사학파[Yunger historical school]
-1871 독일제국 선포
- 유럽[세계]의 leader로서 경제학;Manchester School[극단적 자유방임경제학]로부터 독립
- 경제대국 건설, 실업-빈곤 대응, Marxism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경제학
- 사회정책[윤리적 판단] 요구
Gustav v Schmoller; Grundrisse der Algemeine Volkswirtschaftslehre 1900
-1873; 사회경제학회 창설
-강단 사회주의자[Socialists of the Chair]
-국민경제학; “국민경제에 관한 인식”을 깊게 하는 학문
-관찰 및 기술(記述)
-정의(定義) 및 분류
-자연적 원인 + 심리적 원인
-전체와 개체(個體)의 관계 설정= 윤리적 타당성
-종속경제-도시경제-국민경제-연방경제
Adolf Wagner, 국가사회주의자[기독교사회당 창설, 당수]
-통계학자, 재정학자; Finanzwissenschaft und Staatssizialismus 1887
-정부의 역할; 1]생산의 anarchy 배제, 2]노동조건 개선, 3]소득재분배, 문화 창달
Lujo Brentano 노동조합 이론 및 활동으로 Nobel peace prize[1927]수상,
-노동계급 이익은 스스로의 자율 활동에 의해 보장
-노동자 단결권
-노동자; 단순한 생산요소가 아니라 사회구성원 인간[인간성과 구며력의 원천]
방법논쟁[Methodenstreit]
Carl Menger[정치경제학과 사화과학의 방법에 관한 고찰, 1883]과 G. Schmoller간 사회과학 학술방법에 관한 논쟁.
Note 12 Marginal Revolution
경제학 주제의 변화[성장/발전->비교정태적 가격결정과 자원배분]에 따른 방법론 변화
객관적 비용- 주관적 가치[효용], 수요
사례/관념적 논의[거시분석]- 추상적 모델[미시분석]
가치 분석- 가격/시장 분석[수리분석, marginal analysis]
W.S. Jevons, The Theory of Political Economy 1871
효용과 가치의 관계
경제학; 쾌락[pleasure]과고통[pains]의 미적분학
“인간은 쾌락 극대화 고통 극소화의 주체”;합리적 타산적 극대행위자
최종 효용도; 무한히 작은 쾌락,고통- 수학으로만 분석가능
노동가치설 비판; 생산비->공급량->희소성[최종효용도]->가치 결정
자본가; 사회 자본의 보관자[trustee], 기대이윤[anticipated profit]이 자본량 결정
F.I.Edgeworth; 수학자, Edgeworth Box-contract curve
Carl Menger; 국민경제학 원론 1871; 시장수요와 한계효용.
Leon Walras; Elements of Pure Pol.Economy 1874 일반균형분석
1; Austrian School
Carl Menger-Eugen von Boehm-Bawerk-F.Wieser
Carl Menger[1840-1921] 국민경제학 원론 1871
방법논쟁;
한계효용학파; 개인행위 분석- 효용 이론- 몰(沒)가치
역사학파; 집단-사례 관찰-윤리적 판단
-순수과학은 항상 몰가치적
-경제학은 ‘개별경제’만 과학적으로 이해 가능,
계급, 민족 등 사회 집합체에 대한 과학적 이해(理解) 불가능
수요공급이론; Dx(Px); Mx>Px이면 purchase-수요곡선 도출
소비재 효용-> 수요/공급-> 가격 결정-> 생산요소 효용, 수요, 가격 결정
생산재; 판매욕망[이윤]>Px 때 공급
고차재(高次財) 가치; 저차재의 예상가치가 결정
Eugen von Boehm-Bawerk, Positive Theorie des Kapitales 1888
자본 이론; 이념/체제와 무관, 오직 기능(機能)적으로 적용되는 가치의 논리
자본; 우회적 생산방법의 여러 단계에서 생산되는 ‘중간생산물’의 복합체
시차(時差)설[Agio Thorie];1]현재(現在)재 욕망>장래재, 2]현재소득>장래소득, 3]우회생산
F.Wieser; 기회비용의 원리
2, Lausanne School
Leon Walras[1834-1910] Elements of Pure Pol.Economy 1874
일반균형이론의 완성자,
Dx>Sx-> Px 상승-> Dy,Sy[대체재, 보완재 등]-> Py-> Dz Sz Pz----
일반균형조건;
-unknowns; 2m[생산재/서비스 균형수급량+가격]+ 2n[소비재/서비스 균형수급량 +가격]- 1[numeraire]
-equations; 2m[생산재/서비스 수요방정식+공급방정식]+ 2n[소비재/서비스 수요 +공급]- 1[Walras의 법칙]
Vilfredo Pareto, 1848-1923
무차별곡선; 균형분석에서 효용개념 극복[객관적 현상으로서 경제 분석]
파레토 법칙[20:80 법칙]
Ophelimite[파레토최적] 개념
Note 13 Victorian Age and Imperialism
Queen Victoria 1837- 1901까지 64년간 영국/인디아/아일랜드의 여왕
영(英) 제국의 최대 팽창시대; 무한경쟁과 제국주의
Herbert Spencer, 1820-1903 사회적 진화론; Synthetic Philosophy
1862-93[Principles of biology/psychology/sociology/ethics],
evolutionary utilitarian ethics; 윤리적 생활의 원칙은 유기체 발전의 진화적 변화에 기초함.
-개인/집단/사회간의 ‘수정되지 않은 경쟁적 투쟁’이 survival of fittest, innovation 유발
-경쟁압력과 후한 보상체계가 사회진보의 조건
Rosa Luxembourg, 1871-1919
The accumulation of Capital - An Anti-Critique, 1913, 자연경제의 파괴과정
V. Lenin 1870-1924, Imperialism; The Highest Stage of Capitalism[1916]
John Hobson 1858-1940,
Imperialism, 1902
Moneyed interests가 국가를 조정하여 민족주의 부축임
公共의 자금, 국민의 피를 동원하여 외국과 전쟁.
Moneyed interests; 금융투자자, 수출업자, 군수품 제조다, 해운업자;군인, 종교인[선교사], 모험자, 사회탈락자, 식민지 관료, 기술자.
제국주의 동력[forces]; 민족[애국]주의, 백인우월주의[white man's burden], 군국주의, 종교 제1주의
Note 14; Neoclassicals
Alfred Marshall 1842-1924, Principles of Economics[1890]
- “알기 쉬운 경제학”; 수리-기하학 통한 경제 설명
- 부분 균형이론-> 전체 원리 파악
기업이론->산업이론[대표적 기업, 준(準)지대, 정상이윤 externalities]
ceteris paribus ass.
cool heads, warm hearts
standard of comforts ->standard of livings
A. C. Pigou[1887-1959] The Economics 0f Welfare[1920]
economic welfare-national income;
socialism vs capitalism[1937]
developed Alfred Marshall’s concept of externalities; Pigouvian tax
J. M. Keynes[1883-1946], founder of modern macroeconomics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1936
The Economic Consequences of the Peace, 1919
Treatise on Money, 1930
Note 15, American Economics
Benjamin Franklin (1706-1790)
paper money based on land
Henry George (1839 – 1897) Progress and Poverty[1879]
Single tax on land, "Georgism"
John Bates Clark (1847 – 1938) Distribution of Wealth 1899
founder of AEA[1888]
분배의 한계생산력설
John Maurice Clark (1884-1963); acceleration principle, workable competition
Thorstein Bunde Veblen[1857-1929]
The Theory of the Leisure Class 1899,
The Theory of Business Enterprise 1904
-conspicuous consumption
-vested interest, absentee-ownership, business sabotage,
-본능이론[제막본능 vs 지배본능
Irving Fisher (1867 –1947) ; math. economics prof. at Yale
화폐수량설, the Fisher index
advocate of vegetarianism, Prohibition, eugenics, public health, and world peace.
president of the American Economic Association[1918] econometrics의 개척자[계량경제학회 창설, 1930] he founded, with Ragnar Frisch and Charles F. Roos the Econometric Society, of which he was the first president.
Note 16, Institutional economics
John R. Commons (1862–1945) Institutional Economics (1934)
economy is a web of relationships between people with diverging interests[monopolies, large corporations, labour disputes]
Government; mediator between the conflicting groups.
Wesley Clair Mitchell (1874–1948)
John Kenneth Galbraith (1908–2006)
The Affluent Society (1958)
The New Industrial State(1967)
Economics and the Public Purpose (1973) -"new socialism" 주장
Karl Gunnar Myrdal (1898–1987)
Nobel Prize in Economics 1974 with Friedrich Hayek
Asian Drama: An Inquiry into the Poverty of Nations.
"soft state governments" unable to enforce the discipline to implement development plans. -democracy not the best system, authoritarian regimes might do it better.
An American Dilemma: The Negro Problem and Modern Democracy.
New institutional economics; coined by Oliver Williamson[1975]
Ronald Coase, 1910-) Nobel Prize in Economics, 1991.
"The Nature of the Firm" (1937),;the concept of transaction costs to explain the nature and limits of firms,
"The Problem of Social Cost" (1960), well-defined property rights to overcome the problems ( Coase Theorem)
Douglass North, Institutions (1991)
Nobel Prize in Economics;-경제와 제도변화에 관한 경제이론과 수량적 방법 적용
Oliver Williamson[1975] Nobel Prize in Economics[2009]" for "analysis of economic governance, especially the boundaries of the firm", sharing with Elinor Ostr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