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봉 세종대 석좌교수
오늘날 생디칼리슴은 그 질서 파괴적 성격 때문에 선진국에서는 거의 소멸된 상태이나 한국의 노조 활동은 아직도 이 탈을 벗지 못하는 것 같다. 자본주의 기업의 노동조합은 노동자의 이익을 증진하기 위한 것인데 도대체 민노총이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미군기지 이전, 광우병 시위, 4대강 사업 문제에 나설 이유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 노동조합이 공영방송을 장악해 파업하고 사회 파괴적 사태를 미화(美化) 선동하는 양태도 생디칼리스트와 닮았다.
전교조의 행태도 이와 닮은 점이 많다. 전교조는 그간 교원들이 '참교육'을 하는 '노동자'임을 자처했지만, 실제 그 행적은 아이들 교육보다 정치 활동과 이념 선동의 주체였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빨치산 추모행사에 학생들을 끌고 간 것은 대한민국의 국기(國基) 파괴를 선동한 행동이다. 임의로 교원 평가를 거부하고 학생들의 평가고사까지 반대했다.
얼마 전 조전혁 의원이 서울 남부지방법원의 판결을 무시하고 자신의 홈페이지에 6만여 전교조 교사 명단을 공개하자 접속이 폭주해 사이트가 작동하지 않는 소동이 벌어졌다. 조 의원측이 "10만명 동시 접속이 가능하도록 서버를 확보했는데도" 이런 사태가 발생했다니 전교조가 얼마나 국민의 주시 대상이 됐는지 알 수 있다.
조 의원은 하루 3000만원씩의 벌금을 물라는 법원 명령을 받았지만 파산의 위험을 무릅쓰고 명단 공개를 계속하겠다고 한다. 그에 비해 전교조 교사들은 왜 이름조차 못 밝히는 '가면 속의 인간'이 됐는가.
교육자의 사상(思想)이 곧 아이들의 사상이 될 것이다. 따라서 교육자의 사상이 우리 국가사회의 미래 거울이 된다. 학부모를 포함해 모든 국민이 어떤 교육자가 우리 아이들의 교육을 맡는지에 관심을 갖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이다. 명단 공개를 전교조가 온갖 수단으로 거부하는 것은 스스로 자기 신념을 파괴하는 행동이다. 자유 의지는 전교조나 무정부주의자만이 가지는 것이 아니다. 법을 준수하는 학부모도 자유 의지로 자녀 교육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 마치 시장(市場)의 소비자가 상품 내용을 알아야 하듯 학부모는 어떤 학교, 어떤 교사가 전교조 교육을 하는지 알 권리가 있다.
무릇 '참교사'라면 아이들에게 자기 행동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것부터 가르쳐야 할 것이다. 자신의 활동에 자신의 이름을 숨긴다면 '참'과는 거리가 있다. 대명천지에 자신의 정체를 공개하지 못하는 것은 부모 모르게 남의 아이를 자기 이념의 도구로 삼자는 것 아닌가.
전교조 교사들은 조 의원에 대해 집단 민사(民事) 손해배상을 제기하겠다고 하는데 도대체 그들이 입은 피해가 무엇인지 알 수 없다. 명예를 더럽혔다면 전교조 교사 행위가 부끄러웠다는 이야기다. 그들의 활동에 방해가 됐다면 그간 햇볕 아래서 못할 일을 해왔다는 자인(自認)이다.